
Build Analyzer 를 실행 하면 아래와 같이 팁이 나타나는데, 따라 해주면 10%의 성능 향상이 기대된다고 한다. gradle.properties 에 org.gradle.jvmargs=-Xmx2048m org.gradle.parallel=true 에서 아래 라인을 추가 -XX:+UseParallelGC 하면 org.gradle.jvmargs=-Xmx2048m -XX:+UseParallelGC org.gradle.parallel=true 요렇게 되고, Build Analyzer를 다시 실행하면 위 팁이 사라진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버전이 올라가면서, Gradle 버전이 7로 올라가면서 자바 11로 올려줘야 하는 문제. > Failed to apply plugin 'com.android.internal.application'. > Android Gradle plugin requires Java 11 to run. You are currently using Java 1.8. You can try some of the following options: Mac 은 AndroidStudio > Preference Window는 File > Settings 간단하게 11로 변경만 해주면 완료 된다.
Debug 모드에서 빌드되지만 Release 모드에서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난다면? Build Output 에러 메시지 - Attribute Signature requires InnerClasses attribute 안드로이드 스튜디어 빌드 시 gradle 파일 release 모드에서 minifyEnabled true 가 되어 있으면 난독화 정보에 대해 proguard-rules.txt 파일을 참고합니다. 이 파일에 다음과 같은 구문을 적고 다시 빌드하면 됩니다. -keepattributes InnerClasses file이 없다면 app폴더 아래에 proguard-rules.txt 생성하세요.
아주 간단하게 하는 방법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좌측 프로젝트 패널에서 톱니 아이콘 클릭 2. Compact Middle Packages 해제 3. 원하는 패키지명을 누른 뒤, 우클릭 -> refactor -> rename 4. 경고 팝업이 뜨면 전체(all) 선택 5. 깊은 경로 일 경우 아래로 내려 가면서 하나씩 변경 6. 기존 5개 경로에서 3개로 변경 하고 싶다면 6.1. 예) com.a.b.c.d --> com.a.b 6.2 상위 패키지 명을 변경 한 후 ,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을 선택 해서 refactor -> move -> 가장 아래에 있는 all directory 옮기기로 옮기면 됨. 7. 남은 껍데기 폴더는 지워 주면 된다. 8. 그래들과, 매니페스트를 보면 자동으로 바뀌어 있음 9...
처음 저장소 생성 후 push 할 때 android studio bitbucket push rejected Push rejected: Push to origin/master was rejected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tip of your current branch is behind 발생하면 1. VCS 2. GIT 3. Branches Rebase Current onto Selected 해주면 됨.
android studio Gradle 3.1.0 업데이트 후 1. error: resource style/TextAppearance.AppCompat.Notification.Title 발생android:textAppearance="@style/TextAppearance.AppCompat.Notification" --> 로 변경 android:textAppearance="@style/TextAppearance.Compat.Notification2. error: cannot find symbol class NotificationCompat import android.support.v7.app.NotificationCompat; --> 로 변경 import android.support.v4.app.Notif..